택시만 타면 멀미가 전기차라서 그렇다고?

택시만 타면 멀미가

택시만 타면 멀미가 전기차라서 그렇다고?

택시만 타면 멀미가 전기차라서 그렇다고?

24시간 병원 운영 서울시 2024 설 종합대책 시민 안전 관리

전기차 택시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전기차, 특히 뒷자석에만 앉으면 멀미가 심하다는 사람이 많다. 왜 그런 걸까?

차에 탔을 때 멀미가 생기는 원인은 여러 가지다.

눈이 받아들이는 시각 정보와 귀의 전정기관이 받아들이는 운동 정보가 달라서 멀미가 발생한다는 게 첫 번째다.

두 번째는 차량 안에 앉아 있을 때 몸에 전달되는 진동이 원인이라는 것.

세 번째는 멀미 역시 일종의 면역반응으로, 몸이 낯선 물체에 반응하는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중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게 첫 번째다.

전기차를 탔을 때 멀미를 호소하는 이유로는 ‘급격한 가속과 감속’이 자주 꼽힌다.

내연기관차의 엔진은 RPM(분당회전수)이 어느 정도 올라가야 최대 토크가 나온다.

반면 전기차의 모터는 작동 즉시 최대 토크를 뿜어낼 수 있다. 전기차는 가속 페달을 밟을 때 상대적으로 내연기관차보다 빠르게 치고나간다.

제동 방식도 다르다. 내연기관차는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관성에 따라 속도가 서서히 줄어들다가 브레이크를 밟아야 제동된다.

반면 전기차는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는 순간부터 제동이 진행된다.

1회 충전 당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회생제동을 사용하는 건데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속도가 빠르게 줄어들기 때문에 내연기관차에 익숙하던 사람은 ‘갑자기’ 느려진다고 느끼기 쉽다.

이렇게 속도가 급격히 변하면 눈과 전정기관에서 받아들인 정보의 괴리가 커진다.

감각기관이 미처 대응하지 못한 상태에서 몸이 먼저 움직이는 것이다.

상반된 정보가 뇌로 전달되면 구토중추가 자극돼 오심, 구토를 겪을 수 있다.

멀미는 뒷자석에 앉으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운전자는 전방 상황을 주시하며 차량의 움직임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지만 뒷자석에 앉으면 그럴 수 없어서다.

최근에는 전기차의 제동 방식인 회생제동을 따르면서도, 속도가 급감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차들이 출시되고 있다.

운전자 본인이 멀미가 심하면 회생제동 강도를 낮게, 덜하면 회생제동을 강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전기차는 개발 역사가 짧은 만큼 수십 년간 연구된 내연기관차의 승차감을 따라잡으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차가 유발하는 진동 때문이다. 차는 앞으로 나아가면서 위아래로 잔잔한 진동을 유발한다.

실제로 일본철도기술연구소에서 지하철 진동수를 측정한 결과 2Hz 정도였다.

이렇게 일정하고 단조로운 진동은 사람이 잠들도록 유발한다.

마치 아이를 재울 때 천천히 흔들어주면, 잠에 더 빨리 잠드는 것과 같은 원리다.

뇌는 작은 진동처럼 무해하면서 일정한 자극을 느끼면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쓸데없는 정보라 판단하고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기 위해 잠에 드는 등 몸이 이완되도록 한다.

게다가 차처럼 밀폐된 공간에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외부 환경보다 높다. 한 번 숨을 쉴 때 들이마시는 산소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뇌로 가는 산소량도 줄면서 나른해진다.

보통 이산화탄소 농도가 1000ppm을 넘으면 졸리기 시작하고, 5000ppm을 넘으면 숨쉬기 답답해진다.

4만 ppm을 넘으면 산소결핍장애가 발생하고 호흡곤란이 온다.

한 연구에서 주행 중인 고속버스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했더니 1000ppm을 넘어 약 5000ppm까지 빠르게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이 좁은 승용차도 비슷했다. 특히 많은 사람이 함께 차를 타고 있을 때 이산화탄소 수치가 빠르게 높아져 잠이 더 잘 온다.

운전 중 나른해 잔다면 창문을 열어 틈틈이 환기해준다. 졸릴 땐 무조건 운전을 멈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