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피임약 항염증제와 함께 먹으면 더 효과적

긴급피임약

긴급피임약 항염증제와 함께 먹으면 더 효과적

긴급피임약 항염증제와 함께 먹으면 더 효과적

중심장액망막병 발생기전 찾았다

레보노르게스트렐 계열 피임약은 긴급피임약(사후피임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는 월경 후반에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 호르몬과 유사한 합성 호르몬이다.

보통 성관계 72시간 안에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12시간 안에 복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사전 피임약에 비해 피임 효과 자체가 떨어져 20%에서는 피임 효과가 없다.

그런데 최근 항염증제인 ‘피록시캄’을 레보노르게스트렐 계열 긴급피임약과 함께 복용하면 피임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파록시캄은 주로 관절염 통증 등에 사용하는 항염증 효과 약물이다.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홍콩대학 의대 산부인과 레이먼드 항 운 리 교수팀이 지난 16일 저명 의학 저널 ‘Lancet’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무방비 성관계 후 72시간 이내에 응급 피임이 필요한 여성 836명을 모집하고,

이들 여성 중 절반에게는 항염증제와 함께 호르몬 응급 피임약을 투여했고, 나머지 절반에게는 위약과 함께 피임약을 투여했다.

피임을 하지 않은 성관계로 임신할 확률은 대략 4.5%로, 산술적으로 봤을 때

각 그룹에 대해 피임법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19명의 여성이 임신할 가능성이 있다.

레보노르게스트렐만 복용한 사람들의 경우 예상 임신 19건 중 7건만이 발생하여 63%의 성공률을 보였다.

하지만 그러나 두 약물을 모두 투여받은 사람들 중 예상 임신 19건 중 단 한 건만 발생하여 95%의 피임률을 보였다.

연구를 지원한 홍콩 가족계획협회(Family Planning Association of Hong Kong)는 “레보노르게스트렐계

피임약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긴급피임약”이라면 “이 약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뜻 깊다”고 발표했다.

한편, 피록시캄과 같은 약물은 장기간 사용하면 복통과 소화성 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연구팀은 연구 참가자들에게서 이러한 부작용을 전혀 관찰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8월 25일부터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청소년 중독질환 예방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중독’은 유해 물질에 노출되어 인체에 이상이 생기거나 증상이 발생하는 신체적 중독(poisoning)과 심리적

의존이 있어 계속 물질을 찾는 행동을 하게 되는 정신적 중독(addiction)의 의미가 혼재되어 있는 용어이다.

이 중 신체적 중독 환자는 국내의 화학물질, 약물, 자연독 등에 의해 연간 10만 명 내외로 발생 중이며,

이로 인한 진료비는 지난 10년간 매년 증가하여 2021년 기준 578.1억 원에

달하고 있어, 국민의 사회경제적 부담 또한 늘어나고 있다(출처 : 건강보험통계연보).

이에 질병관리청은 2022년부터 응급실 기반 중독 심층 조사를 통해 신체적 중독 환자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독질환 취약 집단을 발굴하여 청소년을 시작으로 맞춤형 예방사업을 추진한다.

질병관리청이 전국 15개 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한 중독환자를 대상으로 중독 심층 조사를 실시(’22.6.~’23.5.)한 결과,

전체 중독환자 중 10.6%가 10대 청소년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80.0%가

치료약물에 의한 중독으로 10대가 전 연령대 중 치료약물로 인한 중독사고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대의 다빈도 중독물질 1위는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해열제(21.1%), 2위는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신경안정제(19.2%)로, 모두 치료약물에 해당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