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군 규모 4.8 지진 상황별 대처법

전북 부안군 규모 4.8 지진 상황별 대처법 댓글 닫힘
전북 부안군

전북 부안군 규모 4.8 지진 상황별 대처법

전북 부안군 규모 4.8 지진 상황별 대처법

이 날씨에 독감 증상? 냉방병 중에서도 심한 레지오넬라증

오늘(12일) 오전 8시 26분 49초 전북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점에서 규모 4.8 지진이 발생했다.

올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최대규모다. 최대진도는 전북권에서 V로 관측됐다.

진도 V는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 창문 등이 깨지기도 하며, 불안정한 물체가 넘어지는 정도다.

그 밖에 전남권, 경기도, 대전, 세종, 인천, 충북 일대에도 큰 진동이 일었다.

국내에서 규모 4.5 이상 지진이 발생한 것은 작년 5월 15일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에서 4.5 지진이 발생하고 약 1년여만이다.

육지에서 발생하기는 2018년 2월 11일 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5㎞ 지역에서 규모 4.6 지진이 발생하고 6년여만이다.

기상청은 “인근 지역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안전에 주의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지진 발생 시 상황별 대처법은 다음과 같다.

지진으로 흔들릴 때=물건이 떨어져도 다치지 않는 위치로 가 몸을 피한다.

탁자·테이블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한다. 탁자 아래와 같이 피할 곳이 없으면 방석·이불 등으로 머리를 보호해 부상을 최소화한다.

흔들림이 멈췄을 때=흔들림이 멈추면 문이나 창문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다.

문틀이 틀어져 문이 열리지 않으면 방 안에 갇힐 수 있다.

건물 밖으로 나갈 때=지진이 발생하면 유리 조각 등 날카로운 물체 때문에 발을 다칠 수 있어 반드시 신발을 신고 나가야 한다.

건물 밖으로 나갈 때는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을 이용한다. 만약 엘리베이터 안에 있다면 모든 층 버튼을 눌러 문이 열리는 곳에서 최대한 빨리 내린다.

건물 밖으로 나왔을 때=건물 밖에서는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건물 옆, 자동판매기 등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물체로 다칠 위험이 있는 곳은 피한다. 떨어지는 물건에 유의하며 운동장,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한다.

운전 중인 경우=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운다.

대피하는 사람이나 긴급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중앙을 비워두기 위해서다.

긴급 차량 통행 시에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키를 차 안에 꽂아둔 채 문을 잠그지 않고 내린다.

정전됐을 때=손전등을 사용하고 양초, 성냥, 라이터 등 불 사용은 자제한다.

누출된 가스가 폭발할 위험이 있다.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어 전기 스위치는 만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