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한국인 45%는 대사증후군 체중감량 과해도 문제
65세 이상 한국인 45%는 대사증후군 체중감량 과해도 문제
이번 달 14일은 국제당뇨병연맹(IDF)과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세계 당뇨병의 날’이다.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나뉠 수 있는데 이 중 제2형 당뇨병은 일명 ‘성인 당뇨병’으로 식습관, 운동습관, 가족력 등에 의해 발병한다.
이러한 제2형 당뇨병 및 심뇌혈관 질환의 가장 주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가 바로 ‘대사증후군‘이다.
대사증후군은 식사 습관, 수면 습관, 운동 습관 등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여러 생활습관에서 비롯돼 ‘생활습관병’이라고 불리는 질환이기도 한다.
쉽게 복부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혈당이 함께 있는 경우가 대사증후군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대사증후군은 여러 합병증을 초래하지만 특별한 증상이 없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눈에 띄는 증상 없이 혈압이나 혈당, 중성지방이 오르거나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이 저하되면서 생길 수 있는 복부 비만 정도가 표지다.
하지만 대사증후군을 방치하면 고요산혈증이나 통풍, 비알코올성 지방간, 단백뇨, 다낭성 난소 증후군, 수면 무호흡증 등의 합병증을 초래한다.
심근경색을 포함한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발병 위험도도 크게 올라가는데,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 발생률이 2~3배 높고 당뇨병을 진단 받을 확률 또한 3~7배나 높다.
우리나라는 특히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편이다.
비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45%가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다.
대사증후군의 가장 큰 원인은 내장 지방의 과다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이다.
이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손여주 전문의는 “내장 지방은 식습관이나 생활 습관 등 환경적 요인으로 생기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때문에 대사증후군의 치료에 있어서는 환경적 요인의 개선이 중요한데 이때의 핵심은 ‘체중 감량’이다.
체중 감량 자체가 몸의 중성 지방, 혈압,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의 수치를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데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체중을 감량하기 위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등이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하다.
운동은 중강도 유산소 운동 주 5회 이상, 1회당 30분~1시간, 근력운동 주 2회, 1회당 30분이상을 병행해야한다.
음식을 먹을 때에는 단순당의 섭취를 피하면서 지방을 전체 칼로리의 25% 이하로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포화지방은 7% 미만이어야 한다.
손여주 전문의는 “체중 감량은 대사증후군 치료와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지만 너무 급격한 체중감량은
독이 될 수 있다”며 “1년 동안 자신의 몸무게의 7~10%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조언했다.
대사증후군은 그 자체만으로는 통증 등의 증상이 없어서 가볍게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대사증후군을 치료하고 꾸준히 관리하지 않으면 당뇨병과 심뇌혈관 질환 발생률과 사망률이 매우 빠르게 증가한다.
때문에 환자에 따라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식단과 운동을 처방받고 필요시 비만치료제 등의 약물 처방을 받는 것도 좋다.
손여주 전문의는 “누구든 대사증후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대사 증후군은 적극적이고 꾸준한 관리가 평생 지속 되어야 한다.
개인에 특성에 따라 생활습관을 적절히 개선하고 기저질환을 잘 관리해,
대사증후군을 치료하고 합병증 발생률을 끌어내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