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한 알레르기 비염 1~2주 전 미리 예방
지긋지긋한 알레르기 비염 1~2주 전 미리 예방
비염 환자들에게는 봄 못지않게 괴로운 계절이 바로 가을이다.
아침저녁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기온과 습도의 갑작스러운 변화로 코의 예민한 신경 반응을 유발하며 돼지풀, 쑥, 환삼덩굴과 같은 잡초류 꽃가루가 유행한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2년 비염 환자 수 통계를 참고하면
혈관 운동성 및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수는 봄철인 4~5월보다 가을철인 9~10월에 더 많았다.
알레르기 비염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수는 지난 2017년 683만 명에서 2019년 707만 명으로 증가세를 그렸다.
질병관리청 분석에서도 1998~2019년 사이 국내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18배 증가했으며, 대한민국 성인의 18.8%가 알레르기 비염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염은 비강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코 내부의 점막이 붓고 점액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비되어 코막힘과 콧물 증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비염이 지속 또는 악화되면 부비동염, 중이염, 결막염 등으로도 이어질 우려가 있다.
비염 중에서도 특히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특정 흡입성 알레르겐에 민감성을 갖고 있는 환자들이 해당 알레르겐을 흡입할 때 발생한다.
대한민국에서 흔한 흡입성 알레르겐 중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 항원으로는 대표적으로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털과 비듬, 곰팡이, 바퀴벌레 등이 있다. 집먼지진드기는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다.
요즘은 반려동물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 환자도 증가하는 추세인데, 개와 고양이 같은 동물의 몸에서 떨어져
나온 털, 비듬, 타액, 눈물, 배설물 등이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코로 유입되어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한다.
반면 각종 꽃가루는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하는데, 특히 건조하고 바람 부는 날이면 공기 중 꽃가루가 증가하여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코막힘, 재채기, 수양성 콧물, 코 가려움증이 알레르기 비염의 전형적인 4대 증상으로 나타난다.
알레르겐에 노출되면 주로 코 가려움증, 재채기, 콧물, 코막힘 순서로 발생한다.
재채기와 콧물은 오전에 심해다가 오후가 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코막힘은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눈이 가렵거나 붓고 충혈 되는 결막염, 두통, 후각 감퇴 등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위와 같은 증상들이 반복된다면 알레르기 비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진에게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자세한 문진을 통해 증상, 개인 또는 가족 기왕력, 환경적 요인 등을 파악하게 되며 비내시경을 통해 비강 점막의 변화를 관찰한다.
이후 혈청학적 검사, 피부반응검사, 또는 유발검사를 통해 원인이 되는 특정 알레르겐을 분석한다.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법은 원인과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회피요법, 약물요법, 면역요법, 수술요법이 있다.
알레르기 비염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가능한 한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을 피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약물요법으로 항히스타민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항콜린제, 항울혈제, 스테로이드제 등 다양한 종류의 경구 약제와 비강 내 분무용 스프레이 제제가 사용된다.
면역요법은 원인 항원을 환자에게 소량부터 조금씩 증량하며 반복적으로 주입함으로써 해당하는 항원에 대한 면역 관용을 유도하고 과민성을 감소시키는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다.
수술요법은 주로 코막힘을 해결하기 위한 술식으로 레이저나 코블레이터 등의 특수기구들을 사용한다.
알레르기 비염은 방치하면 다양한 호흡기 증상으로 인해 삶의 질까지 저하되지만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한 질환이다.
검사를 통해 증상을 유발하는 특정 알레르겐을 식별해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을 최대한 피하거나
더 나아가 본인에게 맞는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증상의 심각성과 빈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과의 상담 및 진료를 통해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