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무시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신호들
중이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무시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신호들
귀가 아프면 일단 중이염으로 의심하기 쉽다. 하지만 중이염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알아야 제대로 치료받을 수 있고 예방도 가능하다.
중이염은 귓구멍을 지나 외이도를 거쳐서 고막 뒤편에 있는 중이(中耳)에 생기는 염증이다.
특히 중이염 중에서 고막 천공, 난청, 반복적인 이루(耳漏)가 있으면서 이러한 염증이 3개월 이상 지속 혹은 반복될 경우 만성 화농성 중이염이라고 한다.
만성 중이염은 크게 만성 화농성 중이염과 만성 비화농성 중이염으로 구분되는데, 이통, 이루 등의 확연한 염증 증상이 있는 전자와 달리
후자인 만성 비화농성 중이염은 난청 이외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진단이 늦어지기도 한다.
만성 유착성 중이염, 진주종성 중이염이 만성 비화농성 중이염에 속한다.
보통 중이염이 발생하면 이통, 이루(농) 등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며, 난청, 이명 등이 발생한다.
만성 중이염의 발병에는 급성 중이염과 연관된 인자들, 즉 세균 혹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이관기능장애와 같은 해부학적 요인
환자 요인(어린 나이, 면역계통의 미성숙 등), 알레르기, 가족력, 남성, 인종, 수유방법 등의 환경적 요인 및 사회적 요인 등이 관여한다.
이들 중 이관기능장애와 세균에 의한 감염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중이염에 걸리면 청력장애, 즉 난청(難聽)이 발생한다. 만성 중이염의 경우 고막 천공으로 인하여 소리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 난청이 생기는데
간혹 소리를 전달해주는 이소골이 손상되어서 난청이 생기기도 하며, 이런 형태의 난청은 수술 후 회복된다.
하지만 만성 중이염에서 염증 등으로 인하여 소리를 듣는 달팽이관이나 청신경이 손상되면, 이런 난청은 수술 후에도 여전히 남기도 한다.
중이염에 걸렸을 때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치료한다.
중이질환의 일반적 치료
고막의 천공이 있는 경우 외이도에 절대로 물이 들어가게 해서는 안 된다. 샤워할 때나 머리를 감을 때 바셀린을 적신 솜이나
일반적인 귀마개로 외이도를 막아 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서 염증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영은 절대 피해야 한다.
이루가 있는 경우 흔히 솜이나 거즈 등을 귓구멍 바깥쪽에 얹어둠으로써 겉으로 흘러나오는 이루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지만
외이도를 완전히 막으면 안 되고 바람이 통하도록 엉성한 작은 솜뭉치를 살짝 얹어두는 것이 좋다.
중이질환의 약물치료
약물치료로 이루를 멈추게 할 수도 있다. 경구용 항생제와 더불어서 귀에 넣은 항생제 이용액이 효과가 좋다.
이루가 심하면 이차적인 외이도염, 진균 감염이 일어나서 합병되므로 이비인후과에서 자주 드레싱을 하여 외이도를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만성 중이염의 경우 약물치료는 일시적인 방법일 뿐이다.
수술적 치료
만성 중이염은 수술로 완치가 된다. 만성 중이염의 수술은 우선 염증을 제거하고 고막 천공을 막아서 염증이 없는 안전한 귀를 만드는 것이 목적으로
수술 후에 청력이 회복되는지는 정밀검사를 해봐야 알 수 있다. 하지만 수술 후 청력이 회복되지 않는다고
예측이 되더라도 수술을 포기하면 안 된다. 왜냐하면 만성 중이염 수술 자체가 청력 개선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중이 내 감염을 제거하여 이루를 치유하고 천공된 고막을 다시 만들어 중이염의 재발을 막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이다.
수술의 경우 질병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외부의 큰 상처 없이 귓구멍(외이도)으로만 수술하기도 하고 귀 뒤를 절개하여 수술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수술용 현미경을 사용하여 수술을 했으나 요즘은 귀내시경을 통하여 더욱 정밀한 귀수술이 가능해지고 있다.
수술은 고실성형술, 유양동삭개술, 이소골재건술 등이 있는데 병변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서 위의 수술을 적절히 섞어서 수술한다.
중이염 수술은 귀 뒤편을 절제해서 하더라도, 절개부위가 귓바퀴 뒤에 있어서 흉터도 별로 없고 잘 보이지도 않으므로 환자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