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식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일 미세 플라스틱 방출하는 과자 봉지

간식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일 미세 플라스틱 방출하는 과자 봉지
간식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일 미세 플라스틱 방출하는 과자 봉지
건강 생각해 아침에 마셨는데 의사들이 경계하는 위험 음료
요즘 마트나 시장에서 장을 보면 대부분의 식품이 비닐에 포장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비닐포장의 깔끔함과 보존력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그 이면에는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문제들이 존재한다.
비닐을 가위나 칼로 열 때마다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해, 그 잔여물이 식품 표면에 묻어날 가능성이 높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식품 포장 비닐을 자르거나 찢는 간단한 행동만으로도 적게는 1만 4000개에서 많게는 7만 5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된다.
손으로 열 때가 가위나 칼을 사용할 때보다 미세플라스틱 발생량이 적었으며
특히 칼을 이용했을 때는 손으로 찢는 방법보다 약 50%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만들어졌다.
가위를 사용할 경우 칼보다는 나았지만 여전히 손으로 개봉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생성했다.
연구진은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칼과 가위가 비닐을 완벽히 절단할 만큼 충분히 날카롭지 않아 포장재가 마모되며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비닐만의 문제가 아니다.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용기와 포장재도 작은 자극을 받으면 미세플라스틱을 방출한다.
스위스 취리히의 비영리단체 '식품 포장재 포럼 재단'의 연구팀은 식품 포장재와
미세플라스틱 함유량에 대한 103개의 기존 연구를 검토한 결과, 특정 상황에서 미세플라스틱 발생이 두드러진다고 발표했다.
예를 들어, 포장을 뜯지 않고 그대로 전자레인지에 데우거나, 플라스틱 병과 용기를 씻어 재사용할 때
포장재가 햇볕에 노출될 때, 혹은 병뚜껑을 여닫는 과정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되었다.
또한 이런 반복적인 자극은 시간이 지날수록 포장재의 마모를 가중시켰고, 그로 인해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유발했다.
연구진이 인용한 한 연구에서는 1L 크기의 페트병 생수 하나에 평균 약 2만 4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90% 이상이 나노 크기라고 보고되었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플라스틱 그릇 및 접시를 각각 10번, 20번, 50번, 100번 씻은 후 이를 비교 분석했다.
실험 결과, 반복적으로 세척된 플라스틱 용기에서 나온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해 음식 속의 미세플라스틱 양이 세척 이전보다 증가했다.
이처럼 포장재에서 벗겨진 미세플라스틱이 식품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플라스틱 대신 유리나 스테인리스 같은 대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관련 논문의 저자이자 식품 포장재 포럼 재단의 총괄이사인 리사 짐머만은 플라스틱 병뚜껑을 계속 여닫는 과정에서도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음료로 스며들 수 있다고 경고하며, 플라스틱 포장재를 사용하는 식품 자체가 이미 오염될 위험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뉴욕대 랑곤 의과대학의 환경 소아청소년과장 레오나르도 트라산데는 특히 분유나 모유를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전자레인지에 데우지 말 것을 조언하며, 플라스틱 용기를 식기세척기에 사용하는 또한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