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자 보관법 바꿨더니? 6개월 넘게 싱싱하게 먹는 비밀
감자 보관법 바꿨더니? 6개월 넘게 싱싱하게 먹는 비밀
살도 빼고 얼굴도 탄력 UP 신봉선이 공개한 1석2조 비법
감자는 비타민 B와 C가 풍부하여 면역력을 높이고 빈혈이나 위염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이다.
조림, 샐러드, 튀김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만능 재료이기도 하다.
그러나 날씨가 더워지는 시기에는 감자를 보관하는 일이 까다로울 수 있다.
습도와 기온이 높아질수록 실온에 두면 감자가 더 빨리 물러지거나 상하기 쉬워진다.
이럴 때는 냉장 보관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몇 가지 주의사항만 지킨다면 최대 6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다.
다음은 감자를 냉장 보관할 때 꼭 알아야 할 유의점들이다.
냉장고 내부에서도 비교적 온도가 높은 아래 칸이나 문 쪽에 보관
음식을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는 것이 항상 좋을 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감자만큼은 예외다.
감자는 4도 이하의 차가운 환경에 놓이면 발암물질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 당 성분이 증가할 수 있다.
감자의 전분은 고온(120도 이상) 조리 시 ‘아크릴아마이드’라는 발암물질로 바뀔 위험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려면 냉장실에서도 비교적 온도가 높은 아래 칸이나 문 쪽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대개 냉장실 내부 온도는 2~5도 사이지만, 아래 칸과 문 쪽은 3~5도 정도 더 높아 적정 보관 온도인 5~10도를 유지하기 좋다.
따라서 감자를 안전하게 냉장고에 저장하려면 이 위치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파와 함께 두지 말 것
감자를 양파와 같이 보관하면 빨리 상하거나 싹이 날 가능성이 커진다.
양파는 다른 채소에 비해 수분이 많아, 가까이에 있는 감자가 이를 흡수하면서 물러지거나 싹이 틀 수 있다.
감자의 싹에는 솔라닌이라는 독소가 포함되어 있어 잘못 섭취하면 식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니 항상 주의해야 한다.
만약 싹이 난 감자를 섭취하려면 싹 부위를 깨끗하게 제거한 뒤 먹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에 감자 사이에 사과를 한 알 넣어두면 사과에서 방출되는 에틸렌 가스가 감자의 발아를 억제하여 싹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훨씬 오랜 기간 동안 감자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신문지로 싸서 보관하면 빛 차단과 습기 제거에 효과적
냉장고에 감자를 저장할 때는 신문지로 하나씩 싸서 보관하는 것이 권장된다.
감자는 빛을 받으면 독소인 솔라닌을 합성하기 때문에, 신문지가 빛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신문지는 습기 제거에도 유용하므로, 감자를 싸서 검은 봉지나 위생 백에 넣으면 더욱 효과적이다.
아울러 냉장고에서 꺼낸 감자는 바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저온 환경에서 갑자기 실온에 오래 노출되면 역시 썩거나 싹이 생길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올바른 관리 방법을 통해 감자를 더 오래 신선하게 즐길 수 있다.